안녕하세요~ 요즘 홈플러스 사태가 참 핫하잖아요?

국내 대표적인 대형마트 중 하나인 홈플러스에 무슨이 일이 있는건지

얼마전 위메프 티몬 사건으로 상품권 울렁증이 생긴 우리나라 국민에게 어떤 영향을 줄지 생각해보게 만드는 일이 생겼습니다

홈플러스는 1997년 설립 이후 빠르게 성장하며 국내 유통업계를 선도해 왔지만, 최근 경영난으로 인해 기업 회생 절차에 들어갔다는 소식이 전해졌어요

홈플러스가 주식회사이긴 하지만 비상장 주식회사, 일반인이 매수할 수 없는 사모펀드 소속의 회사이기 때문에 이 사건으로 주가로 인한 피해는 크지않을것이라 생각이 되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대표 마트 브랜드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장 자체에 많은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는것 같아요








1. 홈플러스의 역사와 성장


홈플러스는 1997년 삼성물산이 대형마트 사업을 시작하면서 탄생했습니다

첫 매장은 대구에 문을 열었으며, 이후 빠르게 사업을 확장해 나갔습니다

2000년대 초반, 홈플러스는 글로벌 유통 기업인 영국 테스코(Tesco)와 합작하며 본격적인 성장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2008년에는 홈에버(구 까르푸)를 인수하면서 매장 수를 크게 늘렸고

전국적인 대형마트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국내 대형마트 최초로 매출 10조 원을 돌파하며 업계 1위 자리를 굳건히 했습니다





2. 홈플러스의 재무 구조 변화


홈플러스는 2010년대 초반까지도 탄탄한 성장세를 유지했지만, 2015년을 기점으로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2015년, 홈플러스의 모기업이던 테스코는 재정 문제로 인해 한국 시장에서 철수를 결정했고, 이 과정에서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를 인수하게 되었습니다

이 거래 규모는 약 7조 2천억 원으로, 국내 유통업계 최대 규모의 M&A 중 하나였습니다

하지만 사모펀드의 특성상 단기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취하다 보니, 부동산 자산 유동화(세일 앤 리스백) 같은 구조조정이 이루어졌습니다

즉, 홈플러스가 보유한 주요 점포들의 부동산을 매각한 후 다시 임대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는데, 이는 초기에는 현금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임대료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온라인 쇼핑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홈플러스를 포함한 오프라인 대형마트들은 점점 더 큰 위기를 맞이했습니다

또한, 대형마트 영업 규제(의무휴업일 확대 등)로 인해 주말 매출이 감소하는 등 외부적인 요인도 악영향을 끼쳤습니다

결국 홈플러스는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게 되었고, 구조조정과 매장 철수를 반복하며 생존 전략을 모색하게 됩니다





3. 최근 기업 회생 절차 돌입


홈플러스는 서울회생법원에 기업 회생 절차를 신청했습니다

이는 급변하는 유통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이는데요

기업 회생 절차는 법원의 감독 아래 채무를 조정하고 경영 정상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홈플러스는 이번 회생 절차를 통해 재무 구조를 개선하고 경쟁력을 회복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홈플러스 상품권사용이 크게 증가 했다고 합니다

위메프 티몬 사태를 겪거나 보았던 많은 사람들이 혹시나 하는 상황에 가지고 있던 상품권을 빨리 처분하려는 것이 아닐까 싶은데요

기업회생이라는 것이 거의 파산 직전이나 나오는 것이 아니냐는 이미지가 있다보니

아무래도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홈플러스의 재정상황이 드라마틱하게 나아지거나 다시 업게 1위를 차지하게 되는 일은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 역시 예전 받은 홈플러스 상품권이 있는데 빨리 사용해버려야지(?)라는 생각이 드는건 어쩔 수 없는것 같아요

오프라인 위주의 대형마트의 현실을 보여주는거 같아 씁쓸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