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벅스코리아는 한국 커피 시장의 대표주자입니다. 1999년 이화여대 앞 1호점으로 시작해 이제는 약 1900개 매장과 연 매출 3조 원에 달하는 거대한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2021년 신세계그룹이 지분을 인수한 뒤로 굿즈 상품이 너무 많아졌다는 느낌이 듭니다. 소비자로서 아쉬운 마음과 동시에 매력적인 신제품에 끌리기도 합니다. 최근 구매한 파우치백은 그런 복잡한 감정을 잘 보여줍니다.
스타벅스코리아의 굿즈는 한때 엄청난 인기를 끌었습니다. 여름마다 오픈런을 부르던 e-프리퀀시 굿즈나 연말 다이어리는 팬들의 소장 욕구를 자극했죠. 하지만 최근 굿즈가 너무 자주 나오는 바람에 특별함이 덜해진 느낌입니다. 이번에 구매한 파우치백도 그런 맥락에서 눈에 띄었습니다. 스타벅스 베어 고리가 달린 디자인이 귀엽고 실용적일 것 같아 구매했지만, 막상 받아보니 기대에 못 미쳤습니다.

파우치백은 가볍고 휴대하기 편한 크기지만, 재질이 얇고 내구성이 약해 보입니다. 지퍼도 부드럽지 않고, 끈은 다이소에서 1~2천 원에 살 법한 느낌입니다. 스타벅스 베어 고리는 귀여운 포인트지만 전체적인 마감이 허술해 아쉬웠습니다. 예전 굿즈는 소장 가치가 있었는데 요즘은 그냥 로고 상품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최근의 스타벅스코리아는 굿즈의 퀄리티보다 양에 치중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습니다.
신세계그룹이 운영을 주도한 이후 굿즈 출시 빈도가 높아졌습니다. 2022년 서머 캐리백 발암물질 논란으로 400억 원 손실을 입은 사건도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소비자들은 과거의 감성적인 스타벅스를 그리워하며, 상업적 전략이 브랜드 가치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코리아의 지분 구조
스타벅스코리아는 원래 신세계그룹의 이마트와 미국 스타벅스 본사가 50:50으로 설립한 회사였습니다. 하지만 2021년 미국 스타벅스가 지분 50%를 모두 매각하며 한국 시장에서 손을 뗐습니다. 이마트는 이 중 17.5%를 약 4742억 원에 추가로 사들여 현재 67.5%를 보유한 최대주주입니다. 나머지 32.5%는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GIC가 인수했습니다. 이에 따라 스타벅스코리아는 법인명을 에스씨케이컴퍼니로 바꿨습니다.
미국 스타벅스는 지분은 없지만 매출의 약 5%를 로열티로 받고, 원두 공급과 글로벌 상품 개발에서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즉, 한국 시장의 운영은 신세계그룹이 주도하지만, 브랜드와 공급망은 미국 스타벅스와 연결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스타벅스코리아에 투자하려면?
스타벅스코리아는 비상장 회사라 일반 투자자가 주식을 직접 살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간접적으로 투자할 방법이 있습니다.
1. 이마트 주식 구매
스타벅스코리아는 이마트의 자회사로, 이마트 재무제표에 실적이 100% 반영됩니다. 코스피 상장된 이마트(종목코드: 139480) 주식을 사면 스타벅스코리아의 성장에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셈입니다. 이마트는 백화점, 스타필드 등 다른 사업도 하니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할 수 있습니다.
2. 미국 스타벅스 주식 투자
과거 미국 스타벅스(NASDAQ: SBUX) 주식을 매수한 경험이 있다면, 이 주식은 여전히 스타벅스코리아의 로열티 수익과 글로벌 브랜드 가치를 반영합니다. 최근 미국 스타벅스는 새로운 CEO와 전략 변화로 주가 회복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3. 상장 기다리기
스타벅스코리아는 상장 가능성이 종종 언급됩니다. GIC는 투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상장을 원할 가능성이 크고, 신세계그룹도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해 IPO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상장되면 공모주 청약으로 직접 투자할 기회가 생길 수 있습니다.
투자는 신중해야 합니다. 스타벅스코리아는 매출은 크지만 영업이익률이 낮습니다. 2023년 기준 영업이익률은 4.8%로, 임차료, 인건비, 원재료 비용 상승이 수익성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코리아의 성장 한계
스타벅스코리아는 한국 커피 시장 1위지만, 성장에 한계가 보입니다. 첫째, 저가 커피 브랜드의 공세가 거셉니다. 메가MGC커피는 2024년 기준 3000개 매장을 돌파하며 가성비로 소비자를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의 프리미엄 이미지는 강점이지만,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늘면서 매출 성장이 둔화될 수 있습니다.
둘째, 매장 확장이 너무 빠릅니다. 2023년 상반기에만 44개 매장을 추가했지만, 핵심 상권의 높은 임대료와 관리 비용이 수익성을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매출은 늘어도 이익이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셋째, 신세계그룹의 운영 방식이 문제입니다. 굿즈의 양산과 신세계 멤버십 연계는 브랜드의 감성을 약화시켰습니다. 예전에는 글로벌 감성과 한국적 요소가 조화를 이루었지만, 지금은 지나치게 상업적인 마케팅이 소비자들의 거부감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요인도 영향을 미칩니다. 원두 가격 상승으로 매출원가 비중이 2017년 44.5%에서 2023년 49.1%로 늘었습니다. 중국 시장의 성장 둔화 같은 해외 리스크도 미국 스타벅스 주가와 연계되어 한국 시장의 투자 매력을 낮출 수 있습니다.
스타벅스코리아의 미래
스타벅스코리아는 여전히 강력한 브랜드지만, 굿즈 품질 저하와 수익성 악화, 경쟁 심화로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파우치백처럼 매력적인 신제품도 퀄리티가 따라주지 않으면 소비자 마음을 사로잡기 어렵습니다. 투자로는 이마트나 미국 스타벅스 주식, 그리고 미래의 상장 기회를 노릴 수 있지만,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스타벅스코리아가 과거의 감성과 혁신을 되찾아 다시 사랑받는 브랜드로 거듭나길 기대합니다.
'평범한 일상들 > 재태크하는집순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오징어게임 투자와 나(흔들리지만 희망을 품으며 (0) | 2025.04.22 |
---|---|
미국 관세의 목적과 유럽중국일본 대응에 관해 (3) | 2025.04.08 |
겁없이 도전한 달러차익거래 대실패 후기 (1) | 2025.04.04 |
상법 개정안 거부와 미국의 주주 보호 어떤 차이? (1) | 2025.04.02 |
돈나무 언니가 누구야? 캐시우드 ARK Invest (4) | 2025.04.01 |